-
2024년 4월 건강세상 제23호건강세상 소식지/건강세상 23호(2024.04) 2024. 4. 16. 16:29
0 새로 취임하신 건강세상네트워크 11대 공동대표 인터뷰~!
2024년 2월 29일, 건강세상네트워크 제21차 정기총회가 개최되었습니다. 나백주 선생님, 허현희 선생님이 제11대 건강세상네트워크 공동대표로 선출되었습니다. 두 분의 공동대표님을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https://konkang2020.tistory.com/411
[인터뷰] 건강세상네트워크 11대 공동 대표 인터뷰
허현희 공동대표 11기 공동대표로 선출된 허현희입니다. 저는 주로 건강형평성과 시민/환자 참여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으며, 시민과 환자의 건강권 운동을 옹호하는 활동가로 지내고 있
konkang2020.tistory.com
0 건강세상네트워크 제102회 운영위원회를 진행했습니다.
4월 12일 금요일 오후 6시 30분, 인사동 유일한옥에서 총회 이후 첫 운영위원회를 진행했습니다. 2024년을 맞아 처음으로 운영위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자리로서 정감있고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대부분의 운영위원들이 참석해 주셨으며 업무 중이시거나 혹은 멀리 타 지역에 계신 회원님들은 온라인으로 함께 해 주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https://konkang2020.tistory.com/412
건강세상네트워크 제102회 운영위원회를 진행했습니다.
4월 12일 금요일 오후 6시 30분, 인사동 유일한옥에서 총회 이후 첫 운영위원회를 진행했습니다. 2024년을 맞아 처음으로 운영위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자리로서 정감있고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konkang2020.tistory.com
0 [기고] 질병권 운동은 성공할 수 있을까? - 조한진희
질병과 아픈 몸은 우리 사회에서 무엇이고 무엇일 수 있는지 질문하는 동시에, 누구나 아플 수밖에 없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질병’과 변혁적 사회운동의 불/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다른몸들 ' 에서 활동하고 계신 조한진희 회원님의 기고글입니다. 관심있게 읽어보시고 다양한 의견 나눠주시길 바랍니다~! 비마이너에 실린 기고글 공유합니다.
질병권 운동은 성공할 수 있을까? ① / 조한진희 - 비마이너
[편집자 주] 본 연재는 질병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질병권(잘 아플 권리) 운동과 연결 지어 살펴본다. 질병과 아픈 몸은 우리 사회에서 무엇이고 무엇일 수 있는지 질문하는 동시에, 누구나 아
www.beminor.com
'다른몸들'은 질병권이 보장되고, n개의 다른 몸들이 존중받는 세상을 지향하며 형식에 갇히지 않는 다양한 방식의 활동을 중시하며 질병, 젠더, 장애, 민족, 계급, 인종 차별 등의 문제를 교차적으로 고민하며 느리게 변혁을 만들어 가는 단체입니다.
0 모두를 위한 상병수당제도 실시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일하는 누구나 아프면 쉴 권리를 위해 건강세상네트워크 외 시민사회단체 및 노동조합이 모여 '아프면쉴권리공동행동(준)' 협력 연대체를 구성하여 활동 중입니다. 3월 19일 화요일 오전 11시,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모두를 위한 상병수당제도 실시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https://konkang2020.tistory.com/404
모두를 위한 상병수당제도 실시 촉구 기자회견
“일하는 누구나 아프면 쉴 권리 보장하라” 0 2024년 3월 19일(화) 오전 11시 / 용산 전쟁기념관 앞, 주최: 아프면쉴권리공동행동(준) ○ 발언 - 발언1. 이혜은(공동대표): 아프면 쉴 권리 제도 필요
konkang2020.tistory.com
0 가짜 의료개혁, 명분없는 진료거부 중단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함께 했습니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에서 가짜 의료개혁을 중단하고 의사들의 명분없는 진료거부 중단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였습니다. 이에 건강세상네트워크는 4월 9일 화요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서명운동에 동참하여 요구안을 외치고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건강세상 회원님들도 함께 서명에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konkang2020.tistory.com/413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 서명운동에 함께 했습니다.
가짜 의료개혁, 명분없는 진료거부 중단을 촉구하는 서명운동 의료의 주인은 시민이다! 진짜 '의료개혁' 핵심은 공공의료다! 1. 윤석열 정부는 가짜 의료 개혁 중단하고, 의사들은 명분 없는 진
konkang2020.tistory.com
https://konkang2020.tistory.com/406
가짜 의료개혁은 그만! 명분 없는 진료 거부도 그만!
진짜 의료개혁을 위한 시민서명운동에 함께해주세요. 🔥 우리의 요구 1. 윤석열 정부는 가짜 의료 개혁 중단하고, 의사들은 명분 없는 진료 거부 중단하라! 1. 정부는 ‘지역 의료’와 ‘필수 의
konkang2020.tistory.com
재정보고
http://www.konkang21.or.kr/bbs/board.php?bo_table=finance&wr_id=124
[재정보고] 2024.1/4분기 결산 > 재정보고 | 건강세상네트워크
차분기이월금(말일잔고) 5,359,976 전월이월 8,636,575
www.konkang21.or.kr
[함께 해요]
### 4/20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4월 20일은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입니다. 420장애인차별철페공동투쟁단(약칭 420공투단)은 4월 19일-20일 양 이틀간 전국집중결의대회를 열고 투쟁을 합니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도 함께 개최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s://420protest.sadd.or.kr/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4월 20일, 시혜와 동정의 ‘장애인의 날’이 아닌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장애인권리를 권리답게 보장할 것을 촉구하며 함께 투쟁합시다!
420protest.sadd.or.kr
https://konkang2020.tistory.com/407
제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 (4/18~4/20)
일시 2024.04.18(목) ~2024.04.20(토), 3일간 장소 개막식: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홀 상영관: 한국장애인문화에술원 이음홀, 마로니에 공원 폐막식: 마로니에 공원 타이틀 차별에 저항하라! 슬로건
konkang2020.tistory.com
### 삼성 휴대폰 만들던 스물 한 살 하청업체 노동자, 백혈병 발병. “삼성의 책임이다!”
- 삼성하청 케이엠텍, 아픈 노동자 해고! 일학습병행제-영진전문대 퇴학조치!
“ 아픈 당사자의 잘못이 아닙니다. 무책임한 기업, 대학, 국가의 책임입니다.”
일시: 2024년 4월 17일 수요일 11시
장소: 서초 삼성사옥 앞
https://konkang2020.tistory.com/409
[기자회견] 삼성 휴대폰 만들던 스물 한 살 하청업체 노동자, 백혈병 발병. “삼성의 책임이다!”
삼성 휴대폰 만들던 스물 한 살 하청업체 노동자, 백혈병 발병. “삼성의 책임이다!” - 삼성하청 케이엠텍, 아픈 노동자 해고! 일학습병행제-영진전문대 퇴학조치! “ 아픈 당사자의 잘못이 아
konkang2020.tistory.com
###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 고익소송비 1300여만원 폭탄!
공공의료 운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십시일반 합시다.
https://together.kakao.com/fundraisings/115404/story
공익소송, 돈 걱정 없이 하고 싶습니다
댓글, 응원, 공유만 해도 카카오가 대신 기부합니다.
together.kakao.com
### 공동성명
역대 최대 참패를 당한 윤석열 정부
의료 민영화·시장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공공의료 확충에 재정을 쏟아야 한다.[논평]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결과에 부쳐
역대 최대 참패를 당한 윤석열 정부 의료 민영화·시장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공공의료 확충에 재정을 쏟아야 한다. 윤석열 정부가 제22대 총선에서 참패했다. 지난 21대 총선보다 의석을 더 잃
konkang2020.tistory.com
https://konkang2020.tistory.com/405
[윤석열 대국민 담화 공동논평]무심코 의사 증원의 진정한 속내를 드러내다
오늘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악화하고 있는 의료 대란과 관련해 담화를 발표했다. 자신이 인기없는 정책도 뚝심 있게 밀고 나간다는 자화자찬이 추가됐을 뿐 새로운 내용은 없다. 그 자화자찬 중
konkang202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