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현장스케치]코로나19 시대, '공존과 연대' 건강세상 토크콘서트건강세상 소식지/건강세상4호(2020.12) 2020. 12. 11. 16:35
12월 3일 를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우리들의 삶에 큰 변화가 찾아온 지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1차, 2차 대유행을 지나쳐 3차 대유행이 도래하면서 다시 긴장된 상황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집단감염 속에서 사회적 긴장감이 대두되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방역 지침을 준수하면서 시민들 개인과 시민사회는 다양한 방법과 형식으로 코로나 19에 대응해 왔습니다. 토크콘서트에서 코로나 19 상황 속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시민사회에서 코로나 대응 의의와 한계를 살펴봤습니다. 토크콘서트 1부 ‘시민이 말한다’에서는 ‘공존과 연대’가 요구되는 코로나19 시대에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인터뷰 영상으로 만나봤습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지난 6월부터 ..
-
건강세상네트워크 후원회원가입건강세상네트워크는? 2020. 12. 11. 15:03
건강세상네트워크를 후원해 주세요.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시민들의 소중한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건의료 시민활동에 어깨를 두드려 주시며 지지해주시는 마음으로 저희 건강세상네트워크의 후원회원으로 가입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건강세상네트워크는 기부금 대상단체로서 소득세법 제34조에 따라 기부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은 아래 링크의 신청서에 직접 입력하여 등록하시고, 기업이나 단체 등 별도의 서명이나 날인이 필요한 분은 아래의 회원가입신청서를 다운 받아 작성하셔서 건강세상네트워크 이메일(konkang21@konkang21.or.kr), 팩스(02-2269-1908)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www.konkang21.or.kr/index.php?subPage=510 http://www.konkang2..
-
건강세상네트워크가 걸어온 길건강세상네트워크는? 2020. 12. 11. 12:47
2003년 건강세상네트워크 창립 총회(4월 26일) 의료이용시 환자알권리 보장을 위한 10대 행동요령 발표 신빈곤층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 제안 건강보험 본인부담상한제 도입 방안 토론회 개최 2004년 환자단체와 함께 이레사 약가 인하 및 보험적용 확대 요구 적십자사 혈액원 안전관리 문제제기, 정부 혈액관리 대책 수립 촉구 김건식 회원 선택진료 관련 재판을 계기로 선택지료제 폐지 활동 시작 원폭2세 환우 건강검진 요구 및 대책 촉구 활동 2005년 '암부터 무상의료', 3대 비급여 해결 등 건강보험 보장성 개선 촉구 활동 원폭피해자 지원 특별법 입법 촉구로 국회내 입법 발의 선택진료 폐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 국회내 입법 발의 3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요양보장연대회의 결성 시민건강증진연구소 법인 설..
-
건강세상네트워크는?건강세상네트워크는? 2020. 12. 11. 11:45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시민과 함께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건강권 시민운동단체입니다. '건강'은 모든 사람이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임을 선언하며 2003년 4월 출범했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건강할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지향합니다. 건강은 모든 사람이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그리고 사회는 인권으로서의 건강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는 경제적 능력에 의해, 사회적 지위나 학벌에 따라 건강할 권리, 보건의료를 이용할 권리에 차별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이런 차별을 극복해 나가고자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윤보다 건강'이 우선하는 가치를 지향합니다 '무엇보다 사람의 생명과 건강이 우선'이라는 가치를 지향하면서 이윤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강권을..
-
코로나19 의료공백 인권실태조사보고서[존엄과 평등으로 채우다]자료/문서자료 2020. 11. 25. 11:58
인간답게 살기 위하여 - 존엄성 존중과 평등의 원칙 공중보건 위기 상황이 우리 사회와 삶, 생존의 조건을 뒤흔들고 있다. 최우선의 과제는 생 명을 구하는 일이다. 방역과 예방, 치료와 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인간 존엄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자 의무이다. 이는 그저 살아 숨 쉬는 것만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존엄하게 생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계와 조건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인권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위기 상황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사회적 평등이 구축되어 있어야 하는 것, 사회구성원 누구든지 고통을 말할 수 있는 사회적 통로가 마련되어 있어야 함을 말한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겪고 있는 우리는 위기와 함께 의료공백 상황을 마주해야 했다. 이는 일상에서 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