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접근권
-
[기자회견] 혈우병 비항체 환자대상 헴리브라 신속등재 및 무상공급 유지/확대 요구를 위한 중외제약 규탄 기자회견보도자료 2023. 1. 31. 13:26
2023년 1월 18일 오후 3시 중외제약 본사 앞(서울시 서초구 주요개요 지난 18일 수요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주최) 및 장애단체, 환자당사자 및 가족, 그외 건강세상네트워크를 비롯한 여러 연대단위가 함께 혈우병(헴리브라) 치료제 무상공급을 중단하려는 중외제약을 규탄하기 위해 기자회견 다녀왔습니다. 헴리브라는 중외제약이 2020년에 급여등재하고 21억에서 2022년 72억으로 세 배 넘게 매출액이 상승했습니다. 현재 급여를 받는 항체환자는 전체 혈우병 환자(1750명)의 5%정도 80여명 입니다. 나머지 95%는 비항체환자라 이번에 복지부와 건보공단이 약가협상을 최종 끝내면 매출액이 20배 넘게 오를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런데도 자신들이 원하는 약가를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환자들을 압..
-
[연대] 함께 해 주세요.건강세상 소식지/건강세상 15호(2022.11) 2022. 10. 31. 13:50
[노동권 보장을 위한 노조법 2,3조 개정 청원] 청원 함께 해 주세요.. 대우조선해양은 하청노동자의 임금 30%를 일방적으로 삭감했습니다. 이에 대한 회복을 요구하며 쟁의행위 절차를 모두 거친 합법적인 파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대우조선해양 원청은 하청노동자들에게 '470억원의 손해배상을 제기'하였습니다. 현재 노조법은 노동자의 노동권을 제대로 보장하지 않습니다. 사용자와 정부는 작은 꼬투리를 잡아 노동자의 파업을 불법으로 몰아가고 거액의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있습니다. 노동조합법 2조와 3조를 개정하여 모든 노동자들이 헌법에 보장된 노동권을 누릴 수 있게 청원에 함께 해 주십시오.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을 위한 노동조합법 2조, 3조 개정에 관한 청원 바로 가기) => https://petiti..
-
[공동성명] 복지부가 내놓은 ‘치료제 접근성 제고 방안’으로는 가속화되는 신약의 고가화를 막을 수 없다!보도자료 2022. 10. 19. 13:53
복지부가 내놓은 ‘치료제 접근성 제고 방안’으로는 가속화되는 신약의 고가화를 막을 수 없다 - 온전한 의약품 접근성은 공정한 약가와 동반되어야 한다 - 지난 7월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에 ‘고가 중증질환 치료제에 대한 환자 접근성 제고 및 급여관리 강화 방안(이하 접근성 제고 방안)’을 보고하였으며 이어 국회 간담회에서 관련 방안을 소개하였다.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보고 내용에 따르면, 환자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 급여 등재 과정을 압축시켜 신속하게 진행하고, 초고가 약제의 경우 성과기반형 위험 분담제를 통해 환자 접근성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급여 후 평가를 위한 자료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약가를 사용량에 맞춰 연동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하며, 환자별 사전승인 및 사용중단..
-
[인권간담회] 질병과 약 그리고 사람_1차카테고리 없음 2021. 10. 4. 19:28
※ 본 인권간담회는 의약품접근권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습니다. 1. 주제: 질병과 인정 (부제: 나는 나의 건강(몸)과 삶을 통제할 수 있는가?) 2. 일시: 2021년 10월 19일 오후 5시 ~ 7시 3. 장소: 토즈 마이스 혜화센터 (서울 종로구 동숭길 25 3층) http://naver.me/GOuzYMdu 4. 참여방법: 아래 웹자보를 클릭하시면 신청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발제원고] 1. 질병과 인정_ 조한진희 2. 코로나시대 질병과 건강에 대한 권리_ 명숙
-
[행사] 의약품접근권 기획간담회건강세상 소식지/건강세상 8호(2021.08) 2021. 8. 12. 13:11
2021년은 코로나19 백신 논쟁으로 의약품접근권에 대한 논의가 다시금 회자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반복되는 감염병으로 인한 공중보건위기와 첨단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제약산업시장에는 억 단위의 고가의 의약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는 정부와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는 의약품접근권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문제 제기의 기회가 되고 있고, 전지구적으로 백신 불평등, 분배 정의에 대한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약품접근권을 고가의약품에 대한 약값인하 논쟁으로만 이어갈 수 있을까요? 건강세상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세 곳의 연대단체들과 주관하여 7월 15일부터 의약품접근권 간담회를 진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