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6월 건강세상 제36호건강세상 소식지/건강세상 36호(2025.6) 2025. 7. 1. 17:41
무더위가 성큼 다가온 여름, 모두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신가요? 바쁜 일상과 더위 속에서도 지치지 않으시길 바라며, 건강세상네트워크의 6월 활동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어느덧 2025년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7월에는 역사기록 중간보고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하반기에는 토론회와 북토크 등 다양한 활동을 준비 중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건강세상네트워크 20주년 역사 기록 중간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지난달에 안내해드린 바와 같이, 건강세상네트워크 20주년 역사기록 중간보고회가 오는 7월 3일(목) 오후 7시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건강·생명·인권·연대’의 가치를 중심으로 지난 20년의 활동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건강권 시민운동을 함께 그려나갈 역사기록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번 중간보고회는 그동안의 활동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과 비전을 함께 나누는 발표와 토론의 자리입니다. 건강세상네트워크와 건강권 운동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5년 7월 3일 오후 7시~ 8시 30분
장소: 브라운 테이블 2층 (서울 중구 만리재로35길 30, 2층) / ZOOM 온라인
ZOOM 회의 ID: 856 4730 1623 암호: 492126
참여신청: https://forms.gle/HNR3b1NhDryLs34i6
‘건강세상네트워크 20주년 역사기록’ 중간 보고회
안녕하세요. 건강세상네트워크 20주년 역사기록위원회입니다. 저희는 건강, 생명, 인권, 연대의 가치를 중심으로 활동해 온 건강세상네트워크의 지난 20년의 역사를 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활
docs.google.com
● 독서소모임 인문학산책 6월의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달 인문학산책 독서 소모임에서는 제임스 길리건의 『왜 어떤 정치인은 다른 정치인보다 위험한가』를 함께 읽고 토론했습니다. 정신과 의사 출신인 저자는 수십 년간 미국의 자살률과 폭력 사망률을 분석하며, 정권의 성격이 사회적 폭력과 자살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추적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질문을 던집니다.
토론에서는 이 책의 논지가 한국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갔습니다. 보수 정권 시기 자살률이 높았다는 점에서 미국과의 유사성을 제기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박근혜 정부 시기 자살률이 가장 낮았던 사례를 들어 ‘정당’보다는 불평등, 실업, 사회적 소외와 같은 구조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도 제기했습니다. 그밖에도 책에서 제기한 다양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서로의 생각을 활발히 나눌 수 있었던, 뜻깊고 즐거운 토론의 시간이었습니다.다음 인문학산책 소모임 도서는 최태현의 『이타주의자 선언』입니다.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세요. 건강세상네트워크의 인문학산책 소모임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 일시: 7월 30일(수) 오후 7시 30분
💻 진행: ZOOM 온라인2025 건강세상네트워크 인문학산책 신청
건강세상네트워크는 회원, 그리고 비슷한 지향을 가진 시민들과 함께 책을 읽으며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다양한 관점을 나누면서 인식을 넓히고 성찰 하는 기회를 가져 왔습니다. 자본주의 담
docs.google.com
● 2030청년여성 ‘우리건강 지킴이단’ 6월 활동 내용입니다
바보의나눔 재단의 지원으로 운영 중인 2030 청년 여성 모임 ‘우리건강지킴이단’의 6월 활동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이번 달에는 총 두 차례의 소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6월 4일에는 최만린미술관에서 작품 관람 활동을, 6월 6일에는 북서울꿈의숲에서 탐조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소모임을 통해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네트워킹 방식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 의견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도 가졌습니다.
우리건강지킴이단의 소모임 활동은 오는 9월까지 계속될 예정입니다. 이후에는 건강권을 주제로 한 강좌가 진행될 예정이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2030 청년 여성 분들께서는 아래 신청 링크를 통해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여 신청 링크
https://forms.gle/evqrjkLzQ1xTTN4f9
🚩 우리건강지킴이단 모집
아파도 쉴 수 있는 삶을 꿈꾸는 청년 여성들의 이야기, 🚩 우리건강 지킴이단 「우리건강 지킴이단」은 2030 청년 여성들이 모여, 불안정한 현실 속에서 서로의 아픔을 나누고 따뜻한 지지와
docs.google.com
● 아프면 쉬자! 사례 공모전에 참여해 주세요!!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에서 아플 때 쉴 수 있는 권리가 필요했던 순간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아픈데 연차, 생활비가 없어서 쉬지 못했거나, 병가를 낸 이후에 불이익을 받았던 사례, 상병수당을 신청했지만 거절된 사례 등 건강, 노동에 대한 어떤 이야기도 좋습니다. 많은 신청 바랍니다.
[참여 대상] 아프면 쉴 권리가 필요한 사람 누구나
[참여 기간] 2025년 6월 9일(월) ~ 7월 11일(금) 17시까지
[참여 방법] 1인 1작품(1,500자 이내), 온라인 설문으로 사례 제출[공모 주제]
- 아픈데 쉬지 못했던 사례
- 아파서 쉬었는데 해고 등 불이익을 받았던 사례
- 아프면 쉴 권리가 절실히 필요했던 사례
- 상병수당 시범사업을 통해 쉴 수 있었거나, 거절되어서 쉬지 못했던 사례 등
[시상 내역] 총 상금 100만원
- 대상 1명(부상 20만원 상당)
- 최우수상 2명(부상 15만원 상당)
- 우수상 3명(부상 10만원 상당)
- 참가상 20명(1만원 상당 커피쿠폰)
[참가신청 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Da5haM9jUQ38KrWlcN6X1ELgL2VAQDRiOKY5YMm4JaUUXtg/viewform
아프면 쉬자! 사례 공모전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에서 아플 때 쉴 수 있는 권리가 필요했던 순간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아픈데 연차, 생활비가 없어서 쉬지 못했거나, 병가를 낸 이후에 불이익을 받았던 사례, 상병수
docs.google.com
● 아프면쉴권리공동행동(준) 6월 활동소식 입니다
■ 6월 19일(목) | 제14차 집행위원회 회의 진행
아프면쉴권리공동행동(준) 제14차 집행위원회 회의를 열고 ▲상병수당 관련 쟁점 검토 ▲아프면 쉴 권리 하반기 사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6월 24일(수) | 건보노조와 상병수당 관련 설명회 진행
■ 6월 25일(수) | 민주노총보건복지부(건보공단)와 특고노동자 간담회 진행